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일요일기

[역사]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 : 시대 구분하기 본문

상식

[역사]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 : 시대 구분하기

노작가 2021. 3. 3. 12:36

역사 교과서 첫 단원은 항상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

시대를 구분하는 게 먼저 나온다.

 

청동기 시대 부터는 국가가 출현하기 때문에

때론 고조선과 같은 국가에 대해서 배우기도 한다.

 

오늘은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에 대해서

완벽히 구분해보도록 하자.

 

워터마크가 없는 자료를 받고 싶으신 분은 댓글을 남겨주세요.

구석기와 신석기의 차이점부터 보도록 하자.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뚜렷한 차이점은

뗀석기/간석기다.

 

뗀석기는 말 그대로 "(돌을) '떼어낸' 석기"
간석기는 "(돌을) '갈아서 만든' 석기"다

 

하지만 석기라고 하는 것은 기술이 점차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사실 석기만으로 시대를 구분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는 건 바로

'농사'를 시작했는가다.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는데
농사라고 하면 흔히 '논농사'를 생각하곤 한다.

그러나
신석기 시대에는 '논농사'를 할 만큼 기술이 발전하지 못했다.
'논농사'는 '청동기' 대부터 이루어지며 신석기 대에는 '밭농사'를 한다

.


 

농사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바뀌는 점이 주거 형태다.

 

구석기 시대에는 먹이를 찾기 위해 계속해서 움직여야 한다.

사냥감들도 계절마다 먹이를 찾아 움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름에는 시원한 곳을, 겨울에는 따뜻한 곳을 찾아 떠나야 한다.

그래서 구석기 시대에는 주로 자연물을 주거지로 삼아 '이동 생활'을 했다.

 

신석기 시대로 접어들어 점차 밭농사가 시작되고 본격화되면서

이제 '정착 생활'을 하게 된다.

주로 강가나 바닷가에 집을 지었는데 그 이유는 밭농사를 한다고 하더라도

밭농사만으로 얻을 수 있는 식량이 적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구석기 시대에 이루어진 사냥, 채집, 어로(고기잡이)가 신석기 시대에도 이루어진다.

 


구석기, 신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의 뚜렷한 점은

전자는 '평등 사회'인 반면 후자는 '계급 사회' 라는 것이다.

 

왜 '계급 사회'가 되었을까?

 

신석기 대에 이루어진 농사는 밭농사다.

밭농사는 사냥, 채집, 어로 이외의 부가적인 노동이었다.

밭농사만으로 필요 식량을 채울 수 없었다는 것이다.

 

반면 청동기 대에는 논농사가 이루어진다.

'벼'라고 하는 것은 심는 양에 비해 주어지는 식량이 많다.

즉, 효율이 좋다.

 

A부족에게 필요한 식량은 50이다.
신석기 대에는 사냥, 채집, 어로, 밭농사를 통해 50을 채웠다.

그런데 논농사가 시작되면서 사냥, 채집, 어로, 논농사를 통해 식량 100을 채웠다.
필요 식량은 50이므로 50만큼의 잉여 생산물이 남는다.

반면 B부족에게도 50만큼의 식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사냥, 채집, 어로, 논농사를 통해 식량 80을 채웠다.
B부족은 잉여 생산물로 30이 남았다.

A부족과 B부족 간에 잉여 생산물 차가 20이 난다.
이것은 곧 부의 차이가 된다.

 


청동기와 철기 시대로 접어들면

부족 간의 정복활동이 활발해진다.

 

청동과 철의 사용으로 무기가 발전하고

타 부족의 잉여 생산물을 빼앗기 위해 전쟁을 벌이는 것이다.

 


철기 시대에 접어들면 동전이라는 화폐가 생겨난다.

중국에서는 이미 춘추전국시대 때부터 각 나라 별로 다양한 모양의 동전이 있었고

중국과 교류한 몇몇 국가들에 의해 우리나라에도 동전이 유통된다.

 

(참고로, 청동기 대에 고조선이 세워지고

철기 대에 접어들어 위만 조선이 등장한다.)

 


지금까지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 시대의 구분을 해보았다.

중고등학생은 물론 역사를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

 


https://youtu.be/3-ZQD7SDVGo

 

반응형